
성인 ADHD 환자 10만명 넘었다, 진료비 1천억원 돌파
‘24년 성인 ADHD 진료인원 12만명으로 역대 최대
30대 여성 ADHD 진료비 약 10배 증가
2024년 성인 ADHD 환자 수가 12만명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하고, 성인 ADHD 진료비가 5년새 약 6배 급증하여 1천억원을 돌파하는 등 성인 마음 건강이 위협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서울송파구병, 보건복지위)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ADHD 진료현황’에 따르면 ADHD로 진료를 받은 인원은 2024년 26만 334명, 총 진료비는 2,402억 831만 6천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진료 인원은 2020년 7만 9,244명 대비 229% 늘어났으며, 진료비는 2020년 652억 8,242만 9천원 대비 268% 급증했다.
성인(20대 이상)의 ADHD 진료인원이 2020년 2만 5,297명에서 2024년 12만 2,614명으로 4.85배(38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 10만명 이상이 ADHD로 진료를 받은 것은 지난해인 2024년이 처음이다. 특히 30대가 2020년 6,194명에서 2024년 4만 679명으로 무려 6.57배(557%) 증가했으며, 그 중 여성이 2020년 2,325명에서 2024년 2만 624명으로 8.87배(787%)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인(20대 이상)의 ADHD 진료비는 2020년 188억 1,783만원에서 2024년 1,080억 5,468만원으로 5.74배(474%) 급증했다. 특히 30대 여성의 진료비가 2020년 17억 8,827만원에서 2024년 195억 2,979만원으로 10.92배(992%)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ADHD 진료 인원을 연령별로 분석하면 2024년 기준 10대가 9만 2,704명(35.61%)으로 가장 많았으며, 20대 6만 5,927명(25.32%), 10대 미만 4만 5,016명(17.29%), 30대 4만 679명(15.63%) 순으로 나타났다.
남인순 의원은 “ADHD(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는 주로 아동기에 나타나는 소아 질환으로 여겨져 왔지만, 최근 성인 ADHD 환자가 가파르게 늘고 있어 매우 우려스럽다”며 “ADHD는 소아·청소년 때 조기 발견을 통해 적절한 치료를 받아 성인 ADHD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고, 성인 ADHD는 단순한 성격 문제로 오해하는 등 조기 진단이 어려울 수 있는 만큼, ADHD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성별 연령별 특성에 따른 연구를 통해 실태파악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