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이 6.25전쟁 의료지원국에 포함된다.

2018.06.25 06:31:47


(교통문화신문) 국방부는 독일(당시 서독, 이하 독일로 기술)을 6.25전쟁 의료지원국에 포함시키는 문제를 검토해 6.25전쟁 68주년을 계기로 6.25전쟁 의료지원국*에 포함시키기로 하였다.
* 기존 의료지원국(5개국) : 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 이탈리아, 인도

독일은 ’53년 5월 6.25전쟁에 참전한 유엔군을 지원하기 위해 야전병원 파견 의사를 유엔본부에 전달하고, 이듬해에 80여 명 규모의 의료지원단을 부산으로 파견하였다. 독일 6.25전쟁 의료지원단은 ’54년 5월부터 ’59년 3월까지 서독적십자병원이라는 이름으로 환자 진료(30만여 명) 및 출산 지원(6천여 명), 의료진 양성 사업 등의 의료지원활동을 펼쳤다. 그러나 독일의 경우 의료지원활동이 정전(’53.7.27) 이후에 이루어졌다는 이유로 그동안 의료지원국에 포함되지 않았다.

이에 국방부는 올해 초 군사편찬연구소에 독일의 6.25전쟁 의료지원활동 역사를 온전히 복원하고, 재평가하는 연구를 의뢰하였다. 또한, 국방부는 지난 5월 ‘독일 6.25전쟁 의료지원활동 재조명 세미나’를 개최하여 독일을 6.25전쟁 의료지원국에 포함하는 사안을 공론화하고 유관기관 및 학계 의견을 수렴하였다.

국방부는 독일의 의료지원활동이 정전 이후에 이루어졌지만, △지원 의사 전달은 전쟁기간 중에 이루어졌고, △독일 의료지원단의 임무가 전후 구호사업이 아니라 유엔군 지원을 목표로 했으며, △유엔군 산하 의료기관으로서 활동했고, △기존 물자지원국 기준도 정전 이후 활동을 포함했다는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6.25전쟁 의료지원국에 포함시키기로 하였다.

이와 관련,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해 7월 독일을 방문한 계기에 독일 6.25전쟁 의료지원단 엔지니어로 활동했던 칼 하우저씨를 만나 대통령 표창을 친수하고, 독일의 6.25전쟁 의료지원활동에 대한 감사의 인사를 전달한 바 있다. 또한 국가보훈처는 지난해 11월 독일의 6.25전쟁 의료지원단 단원과 후손들을 한국에 초청하기도 하였다. 우리 정부는 독일이 6.25전쟁 의료지원국으로 포함되지 않은 가운데에도, 독일의 의료지원활동에 대해 예우해왔다.

향후 국방부는 독일을 6.25전쟁 의료지원국에 포함시키는 내용을 2018 국방백서에 수록하고, 군사사(軍事史) 등 관련 기록물, 현충시설 및 기념관 전시물에도 반영할 수 있도록 관계 부처 및 기관과 협조할 예정이다.
* 6.25전쟁 의료지원국과 관련된 전시를 진행 중인 용산 전쟁기념관과 부산 서구 UN평화기념관 등의 전시물이나 부산 태종대에 있는 ‘5개국 UN의료지원단 참전기념비’ 등에 독일이 6.25전쟁 의료지원국으로 반영되도록 관련 기관에 협조를 요청할 예정이다.
홍두표 기자 1190hong@daum.net
Copyright @2015 교통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강동구 천호동 49-22(양재대로 121길 38)201호 전화 : 02-420-0206 팩스 : 02-487-9193 6455-1196 등록번호 서울 아 02158 I 등록일자 2012.6. 28 I 제호 주) 교통문화신문 I 발행인 홍기표 I 편집인 홍두표 I 발행소 서울 강동구 양재대로 121길 38(201) I 주사무소 (발행소).서울 강동구 양재대로 121길38(201) I 발행일자 2012.6. 28 Copyright ©2015 교통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