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과학비즈벨트 대덕 확정

  • 등록 2011.05.16 14:52:15
크게보기

기능지구 청원(오송·오창)·연기(세종시)·천안

국책 과학기술 프로젝트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가 대전 대덕지구로 최종확정됐다.

교육과학기술부는 16일 오전 9시부터 과학벨트위원회가 회의를 열어 과학벨트 거점지구 입지로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대전대덕연구단지)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대덕특구는 평가 과학벨트위원회가 정한 평가지표가운데 연구기잔구축·집적도(연구개발 투자 정도, 연구인력 확보 정도, 연구 시설·장비 확보 정도, 연구성과의 양적·질적 우수성)' 등에서 높은 점수를 얻은 것으로 밝혀졌다. 
거점지구 대덕단지에는 과학벨트의 핵심요소인 기초과학연구원 본원과 대형실험시설인 중이온가속기가 들어선다.
거점지구를 산업·금융·교육·연구 등의 측면에서 뒷받침할 기능지구로는 대덕단지와 인접한 청원(오송·오창)·연기(세종시)·천안 등이 지정됐다. 
기초과학연구원 소속 50개 연구단 가운데 절반가량은 원칙대로 거점지구(대덕단지)에, 나머지는 최종 5개 후보지에 들었다가 탈락한 광주·경북권(대구·포항·울산)에 집중 배치된다. 본원 외 연구단(사이트랩)의 상당수가 이 지역 광주과학기술원(G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포스텍(포항공대), 울산과기대(UNIST) 등을 포스트로 들어설 전망이다.
과학벨트 조성에 필요한 전체 예산 규모는 지난 2009년 정부가 마련한 과학벨트 종합계획안의 3조5천억원보다 1조7천억원이상 늘어난 5조2천억원으로 책정됐다.

이 가운데 3조5천억원은 거점지구인 대전에, 나머지는 광주·경북권 등 다른 지역에 배분될 예정이다. 
오늘 발표된 과학벨트 거점지역 지역구인 자유선진당 국회의원들은 국화 정론관에서 정부 발표와 관련한 기자회견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공약하고, 지난해 교육과학기술부가 최적지로 발표한 세종시를 거점지구로 발표하지 않은 것은 매우 유감스럽지만, 세종시 인접지역인 대전 대덕지구를 거점지구로 발표한 것은 그 나마 다행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선징당 국회의원들은 최종적으로는 충청권 입지를 결정할 거면서 도대체 무엇 때문에 지난 근 일년간 국론분열과 지역갈등을 부추겼는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며, 과학벨트 입지선정은 한마디로 평가한다면, 정부가 과학정책에 ‘정치적 결정’을 고려하다가 실패한 사건이라며, 현 정부가 정치적인 고려없이 지난 2009년초에 수립된 당초 기획안에 의해 사업이 추진되었다면, 이미 상당한 사업진척이 진행되어 조만간 가시적 성과를 기대하는 상황이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선진당은 과학벨트 입지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려 2년이나 지난 지금에서야 겨우 입지를 확정함으로써 국가 과학발전을 지체시키고, 국론분열과 사회경제적 비용만을 막대하게 키웠다며, 정부는 이번 사태로 빚어진 국론분열과 지역갈등에 대해 무한한 책임의식을 가져야 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선진당 국회의원들은 거점지구로 거론되었던 세종시 자족기능에 대한 특단의 대책 마련도 필요하다면, 세정시를 기능지구로 지정하였지만, 이것으로는 세종시의 자족기능을 강화시키는데 큰 한계가 있으니 세종시가 실질적인 과학벨트 기능지구로 작동할 수 있도록 외국인 주택, 병원, 학교 등을 적극 유치하고, 비즈니스 기능을 담당할 수 있는 첨단지구를 신규로 선정하는 것이 필요한만큼 , 정부는 해당 지자체와의 긴밀한 협조체제를 구축하여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사업을 대한민국 과학기술발전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키는 초석으로 건설해 줄것을 촉구했다.

관백태현기자 기자 hikoreatoday@gmail.com
Copyright @2015 교통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강동구 천호동 49-22(양재대로 121길 38)201호 전화 : 02-420-0206 팩스 : 02-487-9193 6455-1196 등록번호 서울 아 02158 I 등록일자 2012.6. 28 I 제호 주) 교통문화신문 I 발행인 홍기표 I 편집인 홍두표 I 발행소 서울 강동구 양재대로 121길 38(201) I 주사무소 (발행소).서울 강동구 양재대로 121길38(201) I 발행일자 2012.6. 28 Copyright ©2015 교통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