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르노삼성, 첨단 엔진 프로젝트 유치 성공

2016.07.25 16:28:52

부산시의 적극적인 기업 지원으로 이뤄낸 민·관 협력 글로벌 성공 사례


(교통문화신문) 부산시와 르노삼성자동차는 차세대 신기술을 결합한 엔진 생산시설을 부산공장으로 유치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르노삼성자동차는 위 엔진 생산의 핵심부품인 실린더 블록, 실린더 헤드, 크랭크 샤프트, 캠 샤프트, 커넥팅 로드 등의 부품 국산화 사업을 추진 중이었으나, 국산화에 소요되는 비용이 약 350억원으로 해외 경쟁 공장에 비해 다소 비싼 것이 현실이었다. 이에 부산시는 지역 협력업체와 함께 부품 국산화를 개발할 수 있도록 약 30억원의 규모로 지원하기로 하여 르노삼성자동차가 해외 경쟁 공장과 동등한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했다.

이같은 부산시의 지원으로 국산화 비용을 저감할 수 있게 된 르노삼성자동차는 르노-닛산 얼라이언스 내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며, 위 엔진의 생산설비를 유치하게 됐으며 르노그룹의 시설투자금도 확보하게 됐다. 이로써 르노삼성자동차는 국내에서의 영업이익을 부산공장의 경쟁력 강화에 투자할 수 있게 된다.

엔진 핵심 부품 국산화 성공에 따른 수입 대체 효과는 연간 131억원에 달할 것이며 부산공장에서 생산한 엔진을 프랑스와 스페인에 소재한 르노그룹의 완성차 생산 공장으로 수출할 수 있는 판로도 확보하게 된다고 밝혔다.

이번 첨단 엔진 프로젝트 유치 사업에는 차세대 신기술인 실린더 플라즈마 보어 스프레이 코팅 기술(엔진 경량화 및 마찰 개선)이 적용되어, 부산공장의 미래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부산시는 엔진 국산화 성공이 르노삼성자동차의 생산물량 증가, 수출 확대, 협력사 매출 증대, 부품 국산화율 제고 및 첨단기술 확보 등으로 부산지역의 자동차 및 부품산업의 발전과 일자리 창출의 효과로 부산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최근 수출 및 내수 판매 호조를 보이고 있는 르노삼성자동차의 글로벌 경쟁력을 배가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홍두표 기자 1190hong@daum.net
Copyright @2015 교통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강동구 천호동 49-22(양재대로 121길 38)201호 전화 : 02-420-0206 팩스 : 02-487-9193 6455-1196 등록번호 서울 아 02158 I 등록일자 2012.6. 28 I 제호 주) 교통문화신문 I 발행인 홍기표 I 편집인 홍두표 I 발행소 서울 강동구 양재대로 121길 38(201) I 주사무소 (발행소).서울 강동구 양재대로 121길38(201) I 발행일자 2012.6. 28 Copyright ©2015 교통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