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유경준 의원 “ 시각장애인 웹 접근성 홍보했지만 ,정작 설 예매에는 배려 안 한 KTX

  • 등록 2024.02.12 11:25:32
크게보기

 

 

                                                                                                                           

 

시각장애인 웹 접근성 홍보했지만 ,정작 설 예매에는 배려 안 한 KTX

 

- 기업홍보에는 웹 접근성 준수 , 정작 승차권 발권 홈페이지는 시각장애인 배려 안해 !

- 유경준 의원 “ 장애인과 비장애인 구분 없이 모두가 동등한 철도 서비스 누릴 수 있도록 개선 필요 ”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의 설 승차권 발매를 위한 온라인 예매 사이트의 공지사항이 

웹 표준을 지키지 않아 시각장애인의 ‘디지털 장벽’은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민의힘 유경준 의원(서울 강남병, 국토교통위)이 코레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설 승차권 예매 홈페이지의 사전예매 공지사항은 텍스트가 아닌 이미지로 작성되어 

시각장애인을 위한 사전예매에 정작 시각장애인은 정보를 읽을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1-첨부파일 확인> 

 

시각장애인은 화면낭독 기술을 활용해 화면 속 정보가 텍스트로 작성되어 있으면, 

이를 소리로 변환해 정보를 알 수 있다.

 

하지만, 대체 텍스트가 누락된 이미지로 정보가 작성되어 있으면 화면낭독 기술을 적용할 수 없어 정보를 인지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방송통신표준심의회에서는 장애인도 웹 콘텐츠에 충분히 접근할 수 있도록 대체 텍스트 입력 등 웹 접근성 지침 준수를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작년 하반기 코레일의 모든 공지사항(109건)이 이미지로 작성되었고 

그 중 59건(54%)이 대체 텍스트가 누락되어 시각장애인은 읽을 수 없는‘들리지 않는 공지사항’으로 작성되었다. 

 

또한, 코레일은 사전예매뿐만 아니라 일반승차권 예매사이트에 대해서도 웹 접근성 지침을 준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코레일은 기업홍보 홈페이지는 웹 접근성 품질 인증을 3년간 받아왔으나, 

일반승차권 예매 사이트(레츠코레일)는 신규 홈페이지 개발을 이유로 웹 접근성 품질 인증을 획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경준 의원은 "시각장애인 등 장애인의 승차권 사전 예매 비율 확대는 잘한 일이지만 

정작 시각장애인이 예매사이트의 공지사항을 읽지 못한다면 무용지물 아닌가”라며, 

“앞으로는 장애인과 비장애인 구분 없이 모두가 동등하게 철도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홍두표 기자 1190hong@daum.net
Copyright @2015 교통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강동구 천호동 49-22(양재대로 121길 38)201호 전화 : 02-420-0206 팩스 : 02-487-9193 6455-1196 등록번호 서울 아 02158 I 등록일자 2012.6. 28 I 제호 주) 교통문화신문 I 발행인 홍기표 I 편집인 홍두표 I 발행소 서울 강동구 양재대로 121길 38(201) I 주사무소 (발행소).서울 강동구 양재대로 121길38(201) I 발행일자 2012.6. 28 Copyright ©2015 교통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