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병훈 의원, 원도심 공실에 스타트업 혁신도시 조성

2024.01.31 09:17:25

 

 

 

                                                                                                                         

 

이병훈 의원, 원도심 공실에 스타트업 혁신도시 조성


청년주도 – AI 토대, 문화콘텐츠·바이오·모빌리티 분야

 

이병훈 더불어민주당 광주동구남구을 예비후보는 금남로 등 원도심 일대에 인공지능을 토대로 문화콘텐츠, 바이오, 모빌리티 분야의 스타트업 기업이 대거 입주하여 광주의 신경제 블록을 형성할 수 있도록 금남밸리 프로젝트를 진행할 것임을 밝혔다. 이 의원은 이 프로젝트를 이끌 주역으로 청년세대를 지목하고 청년이 가진 참신한 아이디어와 테크놀로지에 대한 열정, 뉴트렌드에 대한 관심, 기존 체제에 대한 높은 혁신지수 등을 그 이유로 들었다.

 

금남밸리 프로젝트는 약 30%에 이르는 극심한 공실률로 몸살을 앓고 있는 금남로 등 원도심 지역에 청년이 가진 성장가능성과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영상·디자인·게임·음원 등 문화콘텐츠 ▲의료·헬스케어·뷰티관광 등 바이오 분야 ▲모빌리티 소프트웨어 분야로 이뤄지는 3대 미래산업의 알토란 지역을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이의원은 우선 아직 미답의 상태에 있는 문화콘텐츠산업을 활성화 하기 위해 아시아문화전당 창제작센터와 연계하여 첨단영상, 디자인, 게임, 음원, 엔터테인먼트 등 아시아문화중심도시 5대콘텐츠를 집중 육성할 계획임을 밝혔다. 현재 광주의 문화콘텐츠산업 규모는 전국의 1.7%로 미미한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므로 수도권과 대등한 규모의 콘텐츠 산업으로 키우기 위해서는 우선 기술개발을 위한 플랫폼으로서 아시아문화전당의 창제작센터가 다수의 스타트업 기업과 연계하여 연구 및 투자를 위한 전시 등 파트너십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봤다.

 

또 의료·헬스케어·뷰티관광 등 바이오 분야에 있어서는 주요 의료기관인 전남대병원, 조선대병원, 기독교병원이 광주 원도시에 집중되어 있으며, 피부미용 등 뷰티 관련 다수의 기업들도 원도시에 포진되어 있으므로 이를 잘 엮어낼 경우 뷰티관광 분야의 새로운 산업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고 봤다.

 

최근 뷰티타투 등 분야가 광주원도시 지역을 규제자유특구로 지정해줄 것을 정부에 요구했으며, 그동안 걸림돌이 되어온 ‘의료법’으로부터 일정기간 ‘규제 샌드박스’를 허용함으로써 뷰티타투의 안정성을 실증할 수 있게 해달라는 수요가 매우 커지고 있음을 주목했다. 또 원도시에 스마트헬스케어 타운을 조성할 경우 이에 대한 주요한 기술개발도 금남밸리의 몫이 될 것임을 밝혔다.

 

향후 다가올 모빌리티 산업에 있어서 대규모 설비 및 기반시설이 필요한 제조 부문은 광주의 자동차산단 권역에 설치하되 모빌리티 안에서 이뤄지는 각종 ICT관련 소프트웨어는 원도시의 오피스 타운에서 집중 육성하는 등 역할을 분산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여기에 가장 필요한 기반시설이 인공지능 데이터댐인데, 광주는 이미 88.5페타블롭스(PF)의 세계적 규모 AI데이터센터 구축을 완료했으며 2023년 말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 후보는 이런 기반시설을 바탕으로 모빌리티 분야 콘텐츠와 서비스네트워크 등 소프트웨어 부문에 대한 집중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의원이 밝힌 금남밸리의 주요 내용은 이의원이 국회 4년 동안의 활동에서 많은 전문가와 포럼, 토론회 등을 통해 얻어낸 연구성과들이다. 이 가운데 상당 부분은 이미 실증단계를 거쳤다. 또 문화콘텐츠 분야는 그가 문체부의 아시아문화중심도시추진단장으로 재임 시 계획을 수립했던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종합계획’에 수록되어 있기도 하다.


이의원은 “광주 청년의 성장은 이미 기성세대의 상상을 넘어서고 있고 그 가능성도 매우 밝다. 이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와 함께 자율적 성장 생태계의 조성에 깊은 관심과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홍두표 기자 1190hong@daum.net
Copyright @2015 교통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강동구 천호동 49-22(양재대로 121길 38)201호 전화 : 02-420-0206 팩스 : 02-487-9193 6455-1196 등록번호 서울 아 02158 I 등록일자 2012.6. 28 I 제호 주) 교통문화신문 I 발행인 홍기표 I 편집인 홍두표 I 발행소 서울 강동구 양재대로 121길 38(201) I 주사무소 (발행소).서울 강동구 양재대로 121길38(201) I 발행일자 2012.6. 28 Copyright ©2015 교통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