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에서도 친환경 2층 전기버스 운행 인천.포천에이어3번째

  • 등록 2021.10.18 14:21:24
크게보기

 

 

이제 김포에서도 친환경 2 광역 전기버스가 달립니다!

M6427(김포~강남) 노선에 2 전기버스 6 투입  인천, 포천에 이어 국내 3번째

 

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 이하 국토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위원장 백승근, 이하 대광위) 국산기술 개발된 친환경·대용량 2 전기버스 6 김포시 양곡터미널 강남역 왕복하는 광역급행버스 M6427 노선에서 10 15일부터 운행을 개시(참고참조)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지난 6 대광위 발표한 서부권  2 신도시 교통개선 대책 일환으로 김포시 광역교통 여건을 개선하기 위하여 추진되는 사업이다.

 

 

 

□ 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 이하 국토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위원장 백승근, 이하 대광위)는 국산기술로 개발된 친환경·대용량 2층 전기버스 6대가 김포시 양곡터미널과 강남역을 왕복하는 광역급행버스 M6427 노선에서 10월 15일부터 운행을 개시(참고2 참조)한다고 밝혔다.

 

 ㅇ 이는 지난 6월 대광위가 발표한 「서부권  2기 신도시 교통개선 대책」의 일환으로 김포시 광역교통 여건을 개선하기 위하여 추진되는 사업이다.

 

□ 백승근 대광위 위원장은 10월 14일, 2층 전기버스의 본격적인 운행에 앞서 원활하고 안전한 운행을 위하여 김포시 지역구 김주영 의원(김포시 갑), 박상혁 의원(김포시 을) 등과 함께 합동 현장 점검을 실시하였다.

 

 ㅇ 주요 점검대상은 운송부대시설(전기충전소, 차고지 등), 차량설비(휠체어탑승 슬라이딩램프 등), 운행안전장치(차선이탈방지 및 전방충돌방지 장치 등)이며, 시운전 및 노선점검(교량, 가로시설 등과 이격 정도) 등도 함께 시행되었다.

 

□ 이번에 김포시에서 운행을 개시하는 2층 전기버스는 좌석공급량을 대폭 확대하고, 온실가스 감축 및 미세먼지 저감을 위하여 국가R&D(연구비 60억 원)로 현대자동차와 공동 개발한 국산기술로 제작되었다.

 

 ㅇ 승객좌석은 총 70석(1층 11석, 2층 59석)으로 기존버스(44석) 대비 약 60% 증가했으며, 휠체어 이용 승객들을 위하여 저상버스 형태*로 제작하고 1층에 접이식 좌석 3석을 설치하여 휠체어 2대를 수용할 수 있다.

 

< 2층 전기버스 교통약자 편의설비 >

2층 전기버스 외부

슬라이딩 램프

휠체어 고정 장치(2개소)

 

< 2층 전기버스 내부공간 >

1층 실내(11석)

계단

2층 실내(59석)

 

 ㅇ 또한, 모터 등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이 거의 없고, 전방충돌방지보조(FCA) 및 차선이탈방지경고(LDW) 등 각종 운행안전장치가 설치되어 (참고4 참조) 승객들에게 쾌적하고 안전한 광역교통 서비스를 제공한다.

 

 ㅇ 특히, 2층 전기버스는 일산화탄소 등 유해물질 배출이 전혀 없어 탄소중립 시대의 대기환경 개선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되며, 대당 수송량 확대로 출퇴근시간대 차내 혼잡도 완화와 도로정체 완화에도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2층 전기버스는 지난 4월 인천시 2대를 시작으로 10월 초 포천시 3대가 운행을 개시한 바 있으며, 이번 김포시 6대 이후 올해 말까지 29대를 순차 투입하여 수도권 14개 광역버스 노선에서 총 40대를 운행할 계획이다.

 

< 2층 전기버스 운행계획 >

 

 

< 2층 전기버스 교통약자 편의설비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84bc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52pixel, 세로 369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84bc147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85pixel, 세로 412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84bc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48pixel, 세로 425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bd4000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67pixel, 세로 639pixel2층 전기버스 외부모습                      슬라이딩 모습

 

국토부제공

홍두표 기자 1190hong@daum.net
Copyright @2015 교통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강동구 천호동 49-22(양재대로 121길 38)201호 전화 : 02-420-0206 팩스 : 02-487-9193 6455-1196 등록번호 서울 아 02158 I 등록일자 2012.6. 28 I 제호 주) 교통문화신문 I 발행인 홍기표 I 편집인 홍두표 I 발행소 서울 강동구 양재대로 121길 38(201) I 주사무소 (발행소).서울 강동구 양재대로 121길38(201) I 발행일자 2012.6. 28 Copyright ©2015 교통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